[Tips] Cursor AI 편집기 사용 시 유의할 점
AI를 이용한 코드 편집기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많이 들었고, 작년 말부터 본인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추천한 Cursor AI 편집기를 사용했는데, 이후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작업 환경
본인은 주로 랩탑에서 개발을 진행한다. 현재 사용 중인 장비는 **Dell XPS 시리즈(2018년 모델)**이며, Windows 환경에서 WSL2를 이용해 Linux 환경을 구성해 개발하고 있다.
배터리 문제 발생
오랜 기간 사용한 랩탑이라 배터리 Swelling 현상(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했다. 2024년 초에 배터리를 교체했지만,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동일한 문제가 재발했다.
작업을 주로 WSL2 환경에서 진행했기에, 이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CPU, GPU,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해 보았다.
WSL 환경과 메모리 문제
WSL 환경은 기본적으로 Windows 내에서 가상 머신을 실행하여 Linux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WSL이 실행될 때마다 VmmemWSL 프로세스가 작동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메모리가 할당될 수 있다.
평소 WSL2의 메모리 사용량은 1GB 이내였지만, Cursor AI 편집기를 실행한 후부터 4GB 이상으로 치솟아 있었다.
이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다음과 같았다:
- Cursor AI가 WSL에서 백그라운드 AI 모델 실행
- 코드 보조 기능이 WSL 내에서 실행될 가능성이 큼
- 특정 LSP(Language Server Protocol) 서버가 과도한 리소스 사용
- WSL의 기본 메모리 제한이 없음
- 기본적으로 WSL2는 Windows의 전체 RAM을 사용할 수 있어, 제한이 없으면 AI 관련 작업이 많아질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급증함
- WSL 내부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 Docker, PostgreSQL, Node.js 같은 서비스가 자동으로 실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WSL 종료 후에도 메모리 캐시가 남아 있음
- WSL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고 Windows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일 수 있음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
1. WSL 내에서 메모리 점유 프로세스 확인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프로세스를 확인했다.
htop
또는
ps aux --sort=-%mem | head -10
Cursor 관련 프로세스가 상당한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예상대로 AI 기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었다.
2. AI 기능 비활성화
Cursor 설정에서 AI 관련 기능을 비활성화하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 Cursor 설정 열기
- File > Preferences > Settings (또는 Ctrl + ,)
- 아래 설정 변경
- "Editor > Inline AI Suggestions" → false
- "Python: Analysis Type" → basic 또는 off (Pylance 관련)
- "AI Assistant" 관련 설정 모두 false
이후 WSL을 종료한 뒤 재시작하면, AI 프로세스가 더 이상 메모리를 점유하지 않는다.
wsl --shutdown
3.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종료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종료했다.
ps aux --sort=-%mem | head -10
kill -9 <PID>
4. WSL 메모리 제한 설정
WSL의 무제한 메모리 사용을 방지하려면 .wslconfig 파일을 수정하여 리소스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 C:\Users\{your-username}\.wslconfig 파일 생성 또는 수정
- 아래 내용 추가
[wsl2]
memory=4GB
processors=4
swap=2GB
이 설정을 적용하면 WSL이 과도한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5. 캐시 메모리 해제
여전히 WSL이 메모리를 많이 점유하고 있다면, 캐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도 있다.
sync; echo 3 | sudo tee /proc/sys/vm/drop_caches
결론: Cursor AI 편집기 vs. VS Code
Cursor AI의 AI 기능을 활용하면 실시간 코드 검토 등의 장점이 있지만, 메모리 점유율이 높은 단점이 존재한다.
본인의 경우 AI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Cursor AI를 삭제하고, VS Code로 복귀하였다.
Cursor AI 편집기 사용 시 유의할 점
- AI 기능을 사용할 경우, WSL2의 메모리 사용량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음
- 필요하지 않은 경우, AI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VS Code 등의 다른 편집기를 고려할 것
- WSL의 리소스 제한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메모리 사용을 줄일 것
- 정기적으로 메모리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것
AI 코드 보조 기능이 필요하다면 Cursor AI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리소스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