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과 기술, 그리고 디자인

건축 여행, 디자인, 법규에서부터 PropTech와 컴퓨테이셔널 디자인까지, 미래의 건축을 함께 탐구합니다.

건축을 위한 통찰과 아이디어의 공간

건축작업/설계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복합적 이해관계와 글로벌 설계의 융합

hoooooooon 2024. 12. 30. 08:00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은 서울의 교통 중심지를 현대화하고, 새로운 랜드마크로 탄생시키기 위한 야심 찬 프로젝트입니다. 그러나 그 과정은 단순하지 않았습니다. 설계자 변경,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설계 재공모 등의 주요 이슈와 더불어 코레일과 여러 민간 사업자 간의 협상, 해외 설계 컨소시엄 참여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프로젝트였습니다.


프로젝트 주요 특징과 이슈

1. 설계자 변경 및 설계 재공모

  • 초기 설계자와의 협력 중 의견 불일치와 추가 요구사항이 발생하며 설계 변경 및 재공모가 진행되었습니다.
  • 기존 설계의 도시적 맥락과 기능적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설계에는 더욱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요구되었습니다.

2.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과 협상

  • 코레일이 민자역사 개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우선협상대상자와의 협상 과정에서 임대 기간, 수익 배분, 공공성과 경제성의 조율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 이 과정에서 수많은 발주처 관계가 얽히며 의사결정 과정이 복잡해졌습니다.

3. 해외 설계 컨소시엄의 참여

  • 국제적 수준의 디자인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설계 컨소시엄이 프로젝트에 참여.
  • 해외 설계사들과 협력하여 서울이라는 도시적 맥락과 글로벌 트렌드를 동시에 반영하는 설계안을 도출했습니다.

민자역사 개발과 임대기간

  • 코레일이 주관한 민자역사 개발 방식은 민간 자본 유치를 통해 공공성과 경제성을 모두 충족시키려는 시도였습니다.
  • 이 과정에서 민간 사업자와 임대기간 및 투자비 회수 방식에 대한 협상이 프로젝트의 핵심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 장기 임대와 단기 수익성 확보 간의 균형점을 찾기 위해 다각적인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프로젝트 설계 및 도시적 가치

1. 도시 연결성 강화

  • 서울역의 동서 도시 조직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와 공공 보행 동선 설계.
  • 서울역 광장에서 서소문역사문화공원으로 이어지는 도시적 흐름의 연속성 확보.

2. MICE 허브와 복합 기능

  • 컨벤션 센터, 호텔, 상업시설, 업무시설 등 복합적 기능을 통합하여 MICE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
  • 공공 보행 공간과 녹지 공간을 확보하여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모두 즐길 수 있는 열린 공간 설계.

3. 글로벌 랜드마크로의 도약

  • 해외 설계 컨소시엄과 협력하여 지속 가능성과 첨단 기술을 결합한 건축물 설계.
  • 도시 스카이라인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랜드마크로 자리매김.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의 미래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은 서울의 교통, 경제, 문화적 중심지로의 재탄생을 목표로 합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와 협력을 통해, 이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 서울의 경제 허브: 상업과 업무, MICE를 결합한 복합 공간으로 서울 경제에 활력을 불어냄.
  • 공공성과 경제성의 조화: 민간 자본과 공공 목적을 융합해 지역사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
  • 글로벌 MICE 중심지: 국제 수준의 설계와 인프라를 통해 세계적인 MICE 허브로 성장.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은 단순한 재개발을 넘어, 서울의 미래를 설계하는 프로젝트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